본문 바로가기
알뜰한 생활정보

사고를 피하기 위한 항공기 정보-내 항공기 기종, 항공사별 보유 현황, 가급적 피해야 하는 항공기는?

by 아낀 돈 2025. 1. 1.

최근 무안 공항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로 수많은 승객들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여행을 앞두고 이런 사고를 겪고 나니 내가 타게 될 항공기 기종이 무엇인지, 이 항공기가 안전한 기종이 맞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저와 같은 궁금증을 가진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 한 항공기와 관련된 정보를 소개드리겠습니다.

 

1. 내 항공기 기종 알아보는 법

보통 비행기 탑승권을 예약하게 되면 e티켓을 통해서 탑승하는 비행기의 편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령 대한항공 같은 경우 KE000, 아시아나의 경우 OZ000와 같이 항공기의 편명이 적혀있습니다. 하지만 티켓이나 항공사의 사이트를 들어가도 이 항공기가 어떤 기종인지에 대해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항공기 편명으로 항공기의 기종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드립니다.

 

위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면 seatguru라는 사이트로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아래의 정보를 입력하시면 내가 탑승할 비행기의 기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림의 번호 순서에 따라 버튼과 정보를 입력하시고 'Find'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②항공사 정보는 영문으로 입력하셔야 합니다. 어렵게 생각하실 수 있지만 앞에 몇 글자만 쓰면 대체로 자동완성을 시켜주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④FLIGHT# 에는 항공기 편명의 뒤에 3자리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가령 진에어 LJ005의 항공기 기종이 궁금하시다면 FLIGHT# 에 '005'를 입력하시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Find 버튼을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해당 항공기의 기종을 금방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2. 항공사별 항공기 보유 현황

우리나라 국내 항공사들의 항공기 보유현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12월 기준으로 확인하였으며, 여객기 정보가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화물용 항공기는 제외했습니다.

 

대한항공 (* 제작연도)
· 보잉 747-8i 7대 (2015~2017)
· 보잉 777-300ER 25대 (2009~2019)
· 보잉 777-300 4대 (1998~2000)
· 보잉 777-200ER 7대 (2000~2008)
· 보잉 737-900ER 6대 (2011~2013)
· 보잉 737-900 9대 (2002~2005)
· 보잉 737-8 5대 (2019)
· 보잉 737-800 2 (2011)
· 보잉 787-10 5대 (2024~)
· 보잉 787-9 13대 (2017~2021)
· 에어버스 A330-300 22대 (1997~2015)
· 에어버스 A321-neo 15대 (2022~2024)
· 에어버스 A380-800 7대 (2011~2014)
· 에어버스 A220-300 10대 (2017~2019)
· 에어버스 350-900 2대 (2024~)

아시아나
· 보잉 777-200ER 9대 (2002~2013)
· 보잉 767-300 1대 (1998)
· 에어버스 A321-neo 11대 (2019~2024)
· 에어버스 A321-200 12대 (2012~2016)
· 에어버스 A380-800 6대 (2013~2016)
· 에어버스 A350-900 15대 (2017~2023)

진에어
· 보잉 777-200ER 4대 (2005~2007)
· 보잉 737-900 3대 (2003~2004)
· 보잉 737-8 5대 (2021~2024)
· 보잉 737-800 19 (2000~2016)

에어부산
· 에어버스 A321-neo 8대 (2020~2024)
· 에어버스 A321-200 8대 (2004~2017)
· 에어버스 A320-200 5대 (2006~2012)

에어서울
· 에어버스 6대 (2006~2017)

제주항공
· 보잉 737-8 2대 (2023)
· 보잉 737-800 37 (2002~2018)

티웨이항공
· 보잉 777-300ER 2대 (도입예정)
· 보잉 737-8 2대 (2022~2023)
· 보잉 737-800 27 (2004~2017)
· 에어버스 A330-900 5대 (도입예정)
· 에어버스 A330-300 4대 (2009~2014)
· 에어버스 A330-200 5대 (2010~2013)

이스타항공
· 보잉 737-8 5대 (2022~2024)
· 보잉 737-800 10 (2009~2016)

 

3. 가급적 피하면 좋은 항공기는?

얼마 전 무안공항에서 사고가 발생했던 기종인 보잉 737-800 기종은 가급적 피하는 편이 좋습니다. 이 기종의 경우 과거 사고이력도 많았던 기종인데요. 실제로 보잉 737 기종 중에서도 사고 발생 건수도 많은 편이며, 사고로 인해 전원 사망한 사건도 8번에 달합니다. 또 737 기종의 후기 시리즈인 737 MAX 시리즈 중에서도 800의 차기 기종인 737 MAX 8 기종도 전원사망 사고가 2번이나 발생했습니다. 유독 사고가 많이 발생했었던 기종이다보니 피할 수 있다면 피해가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항공사별 보유현황을 보면 국내 항공사들도 737-800 기종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보니 전부 피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6시간 정도 탑승하는 중장거리 비행에서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상대적으로 에어버스에서 나온 비행기 기종들은 안전한 편이라고 하니 LCC 항공사에서 항공권을 예매하실 때는 에어부산이나 에어서울과 같이 에어버스를 주로 이용하는 항공사를 사용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저 또한 3주 후 푸켓 여행을 계획하고 있었는데, 기존에 예약했던 진에어의 항공기가 사고가 많았던 MAX 8 기종이다보니 며칠 고민을 하다가 금액을 조금 더 지불하고 대한항공 쪽으로 항공기를 변경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여행을 계획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